KIA(차명진) vs 삼성(김대우) 경기 결과
KIA는 오늘 장타의 위력을 과시했다. 올 시즌 장타력이 터지지 않으며 답답한 경기를 펼쳤던 KIA로서는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역시 꼬인 실타레를 풀어준 것은 최형우 였다. 1회 초 공격에서 최형우는 투런 홈런으로 오랜만에 선발로 나온 차명진의 뒤를 든든하게 받쳤다. 4회 초에도 황대인이 투런 홈런으로 2점을 추가했다.
마운드에서는 근 2년만에 선발 마운드에 오른 차명진이 4회까지는 무실점으로 잘 막았다. 그러나 5회 2사 1, 3루의 위기에서 본인 앞으로 온 땅볼에 석연치 않은 내야 안타를 내어주고 오재일에게 연속 안타를 맞으며 2실점을 하고 강판 당했다. 승리 투수 요건을 갖추기까지 아웃카운트 하나를 채우지 못하고 아쉽게 마운드를 내려 갔다.
삼성의 대체 선발 언더드로우 김대우는 투런 홈런 2방을 허용하고 5.0이닝 동안 4실점했다. 홈런 2개 이외에는 잘 던진 호투였기에 홈런 2방이 너무나 아쉬웠다.
양팀은 7회 3점씩을 올리며 크게 격돌했다. 7회 초 KIA의 최원준이 3루타로 1타점을 올리고 2사 만루의 찬스에서 김태진이 2타점 적시타를 날려 3득점했다. 삼성은 7회 말 승리를 확정짓기 위해 마운드에 오른 장현식에게 구자욱이 3점 홈런으로 두들기며 3득점을 올렸다. 오늘 경기는 여기까지 였다. 프리뷰나 리뷰를 통해 수차례 이야기한 것 처럼 KIA 불펜의 핵심은 장현식이다. 그러나 장현식이 이렇게 기복있는 투구를 펼친다면 KIA의 비상은 기대할 수 없다. 대책이 필요하다.
경기는 KIA가 삼성을 꺾고 7 : 5 로 승리했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
KIA | 2 | 0 | 0 | 2 | 0 | 0 | 3 | 0 | 0 |
삼성 | 0 | 0 | 0 | 0 | 2 | 0 | 3 | 0 | 0 |
KT(배제성) vs SSG(이건욱) 경기 결과
'이건욱은 이제 안되는 것인가?'라는 화두를 남긴 경기다. 아마추어 시절 큰 기대를 하게 했던 이건욱이 올 시즌 너무 부진하다. 오랜간만에 기회를 얻은 오늘 경기에서 어깨 통증을 호소하며 자진 강판했다. 1회 초 선두타자 조용호에게 2루타를 맞았지만 후속 타자 2명을 범타로 잡아내며 괜찮은 출발을 하나 싶었으나 2사 이후 알몬테에게 안타를 맞고, 유한준에게 투런 홈런을 맞으며 3실점 했다. 2회 초에도 마운드에 올랐으나 1사를 잡고 다음타자에게 볼넷을 허용하고는 어깨 통증으로 자진 강판했다. 1회 초 이건욱의 패스트볼은 최고 시속이 142km, 평균구속은 140km 정도 였다. 이 구속도 만족스럽지 못한데 2회에는 이마저도 3km 정도 떨어졌다. 분명 이상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SSG는 선발이 이렇게 허무하게 무너졌음에도 타선이 초반 흐름을 놓치지 않고 따라 붙는 저력을 보여 주었다. 2회 말에는 한유섬이 솔로 홈런으로 3회 말에는 KT의 선발 배제성이 흔들리는 틈을 타 희생플라이 2개로 3 : 3 동점을 만들었다.
SSG가 따라 붙자 KT의 타선도 가만 있지는 않았다. 장성우가 이건욱의 갑작스러운 강판으로 교체되어 들어와 2, 3회를 무실점으로 잘 막은 장지훈에게 투런 홈런을 터뜨리며 한 걸은 달아났다. 잘 던지던 장지훈은 이 한방에 흔들리기 시작했고 심우준에게 내야 안타를 허용하고 강판되었다. 이어 나온 김택형은 위기의 불을 끄지 못하고 안타와 도루, 폭투로 추가 1실점했다. 3 : 3 이던 경기가 6 : 3 으로 크게 벌어졌다. KT는 5회 초에도 무사 만루의 찬스에서 실책으로 1점을 추가했다.
오늘 경기는 여기까지 였다. SSG는 선발이 허무하게 무너지자 전체적인 분위기가 가라앉은 듯 보였다. SSG가 계속되는 부상 악재 속에서 어떻게 버티어 나갈 수 있을 지 걱정과 기대가 커져만 간다.
경기는 KT가 SSG를 7 : 3 으로 승리했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
KT | 3 | 0 | 0 | 3 | 1 | 0 | 0 | 0 | 0 |
SSG | 0 | 1 | 2 | 0 | 0 | 0 | 0 | 0 | 0 |
NC(김영규) vs LG(이우찬) 경기 결과
NC의 선발 김영규는 1회 말 1사 1, 3루의 위기를 만들고 팔꿈치 통증으로 마운드를 내려갔다. 처음부터 손을 자꾸만 흔들어 보는 모습을 보이며 뭔가 이상해 보이더니 결국 부상이었다. 갑자기 마운드에 오른 최금강은 최선을 다했으나 제구를 잡지 못하고 볼넷 3개를 거푸 내어주며 1회 밀어내기로만 2실점 했다. LG는 NC 선발 마운드에 공백이 생기자 2회를 제외하고 5회까지 매회 득점을 쌓아가며 승리의 발판을 닦았다. 3회 말에는 2사 만루에서 오지환이 적시 안타로 2타점을 올렸고, 4회 말에는 무사에 안타로 진루한 홍창기를 내야안타 한개와 땅볼 2개로 홈에 불러들였다. 그리고 5회 말에는 문보경이 솔로 홈런을 날려 5회까지 6득점을 완성했다.
NC는 LG의 이우찬과 이상영의 탠덤 전략에 말려 들며 초반 기세를 빼앗겼다. 그러나 3회 초에 찬스가 왔다. 2사 만루에서 알테어가 2타점 적시안타를 쳤다. 그리고 6회 초가 되어서야 1점을 다시 추격했다. 정진기의 2루타와 박민우의 안타로 1득점을 올렸다.
경기는 LG가 NC를 3 : 6 으로 꺾으며 4연승을 질주했다. LG가 신바람을 탔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
NC | 0 | 0 | 2 | 0 | 0 | 1 | 0 | 0 | 0 |
LG | 2 | 0 | 2 | 1 | 1 | 0 | 0 | 0 |
두산(이영하) vs 롯데(스트레일리) 경기 결과
오늘 양팀은 좋게 이야기하면 타격전을 펼쳤고, 나쁘게 이야기하면 선발 누가누가 더 많이 무너지나를 경쟁하는 듯 했다. 두산 마운드의 미래이고 한국 야구의 미래라고도 할 수 있는 이영하가 4회를 넘기지 못하고 6자책점으로 무너진 것은 안타까운 일이었지만 롯데의 에이스 스트레일리가 6이닝 동안 7실점으로 부진했던 것은 롯데에게 큰 충격이었을 것이다. 스트레일리는 직전 경기에서도 3.2이닝 동안 5자책으로 무너진 바 있어 충격은 더 컸을 것이다. 양팀의 선발은 각각 비슷한 점수를 허용하며 무너졌지만 크게 차이가 난 것은 불펜이었다. 두산은 선발 이영하 이후 장원준, 이형범, 김명신, 홍건희, 박치국이 자책점 0을 기록하며 최소실점으로 승리를 지킨 반면 롯데는 선발 스트레일리 이후 송재영, 진명호, 최영환, 김창훈이 7자책을 허용했다. 승부는 여기에서 갈렸다.
경기는 두산이 14 : 8 로 승리했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
두산 | 3 | 2 | 0 | 0 | 2 | 0 | 5 | 1 | 1 |
롯데 | 0 | 1 | 1 | 4 | 2 | 0 | 0 | 0 | 0 |
키움(요키시) vs 한화(카펜터) 경기 결과
한화는 카펜터를 하루 일찍 마운드에 올리며 승부를 걸었다. 아마 경기가 풀리고 있을 때 좋은 흐름을 유지하고자 하는 벤치의 의도였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경우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카펜터는 1회와 5회에 박병호에게 홈런 2방을 허용하고 무너졌다. 1회에는 투런 홈런, 5회에는 쓰리런 홈런이었다. 오늘 키움은 박병호의 홈런 2개와 이정후의 적시타로 6득점을 올린 것이 오늘 경기 뽑은 점수의 전부였다. 1회에 2점, 5회에 4점이었다.
여기에 에이스 요키시가 6이닝을 노히트 경기를 하며 한화 타선을 완벽하게 막아 주었다.
아쉬웠던 점은 요키시와 박병호가 살아나니 마무리 조상우가 무너졌다는 점이다. 9회 마운드에 오른 조상우는 2사를 잘 잡아 놓고 하주석에게 볼넷을 허용하더니 연속 3안타를 맞고 2실점 했다. 매일 경기를 생각한다면 실점없이 철저하게 막아 주었어야 했는데 그러기는 커녕 마무리가 마무리를 하지 못하고 2실점하고 강판되었다. 키움은 이기는 경기마저 경기력이 좋지 않았다.
한화는 요키시에게 막혀 고전했지만 키움의 불펜을 공략하며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좋은 모습을 보여 주었다. 비록 졌지만 내일 경기에 좋은 밑거름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는 키움이 6 : 2로 한화에게 승리했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
키움 | 2 | 0 | 0 | 0 | 4 | 0 | 0 | 0 | 0 |
한화 | 0 | 0 | 0 | 0 | 0 | 0 | 0 | 0 | 2 |